베틀 & 세상/세상 + 이슈

'한복이 거추장스럽고 불편하다고??' 한복에 대한 고정관념을 버려라

베틀한복 2009. 8. 26. 16:16

 

 

 

 

한복은 거추장스럽고 복잡하고 불편하기 때문에 현대인들에게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한다.그러나 한복은 우리나라 역사와

함께 우리나라 기후와 풍토속에서 선조들이 지혜로움을 더해가면서 활동하기에 알맞게 개선하면서 발전시킨 우리나라

사람에게 알맞는 우리의 옷이다.

한복을 입으면 자연스레이 몸가짐이 단정해지고 조신스러워진다. 불편한 점이 많다고 하지만 온고지신의 정이 스며들고

걸음걸이가 단정해진다. 우리은 우리옷을 입어야 제 맛이 난다.

 

 

 

 

한복은 쭉 뻗은 직선과 부드러운 곡선이 조화를 이룬 우리 나라의 전통 의상이다.

여성은 짧은 저고리와 넉넉한 치마로 우아한 멋을 풍겼으며, 남성은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조끼와 마고자로 멋을 냈다.

백의민족답게 기본색은 흰색이었으며 계절에따라, 신분에 따라 입는 예법이나 소재, 색상이 모두 달랐다.

결혼과 같은 특별한 예식에는 평민들도 귀족이 입는 화려한 빛깔의 옷과 장신구로 한껏 멋을 냈다.

최근 국내에는 한복의 장점에 실용성을 가미한 개량 한복이 자리잡아가고 있다.

 

 

 


한복의역사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로부터 시작되었다.

처음 한복의 흔적을 발견한것은 고구려 시대의 왕과 귀족들의 무덤 속 벽화에서였다.

고구려는 중국 당나라시대의 의상과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 그 후 한국의 왕과 몽골족 공주와의 혼사로 중국 용안시대의 옷이

한국에 들어왔고, 그것이 한복의 시초가 된 것으로 보인다. 그 오랜동안 한복은 시대에 따라 저고리 길이, 소매통 넓이,

치마폭이 약간씩 달라질 뿐, 큰변화는없었다. 즉 한복은 둥글고, 조용하고, 한국의 얼을 담고 있다. 실크나 면, 모시로 주로

만들어졌으며, 고름의 색상이나 소매통 색상이 여자의 신분을 나타낸다. 또한 나이와 사회적 지위, 계절에 따라 색상에 변화를

줄뿐 옷의 옷의 모양은 안동의 시골 아낙이나 대통령부인이나 모두 똑같다. 18m의 원단에도 불구하고 가볍고, 입기 쉬운 점이

한복의 장점이다. 명절과 결혼식같은 특별한 날 주로 입혀진다.

 

 

 


한국에는 약 오만개의 제작업체가 있으며, 발행부수 만부가 넘는 한복 전문잡지도 다수가 있다. 한복에 대한 연구와 전시회도 있다.

1992년 뉴욕 I.B.N 화랑에서 한복에 대한 전시회가 한국의 국보적인 인물 석주선 박사에 의해 이루어졌다. 석주선 박사는 1946년 부터

일생을 바쳐 한복에 관한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1996년 타계하였지만 1976년에 세워진 그녀의 기념박물관에는 오늘날 7,000여점이

넘는 한복 콜렉션이 전시되어 있다.